광주 양림동에는 개화기의 고택과 선교사 사택등 근대 건물등도 있으나 조금은 가슴이 아리는 건물이 있다.
지금의 신학대학교 인접에있는 충현원이란 곳이다.
충현원은 미국 남장로교회 소속 선교사 Robert Wilson(1908~1926)과 Robert .Knox(1926~1951) 선교사와 함께 선교부에서 통역하던 어머니 박애신의 영향을 받은 박순이(1921~1995)선생에 의하여 1949년 우월순 선교사댁에서 "네 부모를 공경하라, 네 이웃을네몸과 같이 사랑하라
"(마19:19)는 기독교정신에 입각하여,한국전쟁 전 후에 발생한 전쟁고아들의 보금자리를 마련하기 위하여 설립된 곳이다.
사직공원 전망대에서 신학대학 방향으로 내려오면 우측에 있는 충현원 정문이다.
지금은 정문의 위치가 바뀌어 굳게 닫히어 있다.
평화의 대사 (멕시코 조각가 세바스찬)
한국전쟁 당시 전쟁고아들이 해외16개국으로 입양된것을 상징하고, 전쟁의 상처를 치유하고 모국에대한 정체성을 잊지말기를 기원하며
제작되었다 한다.
러셀 블레이즈델 대령 동상
한국전쟁 당시 미공군 군목으로 1950년 12월 20일 서울거리에 버려진 1,059명의 전쟁고아와 그들을 돌보는 사람들을 미군수송기로 구출한
장본인이다.
비운의 왕좌 (멕시코 세바스찬)
6.25참전용사인 드레이크박사가 기증하였다.
한국전쟁에 희생된 어린이 50만명을 추모하기 위한 메세지가 담겨져 있다고 한다.
충현원의 사무실겸 체험관
설립자 박순이 여사의 묘지다.
좌측은 부모님 우측은 남편과 합장한 묘이다.
마침 충현원을 방문한날 충현원을 운영하시는 유혜랑 목사님을 뵐 수 있어서 평상시에는 문이 잠겨져 있는데 운좋게 내부를 촬영할 수 있었다.
유 목사님은 설립자 박순이(1921~1995)여사의 며느리 이기도 하다.
충현원의 다른명칭은 충성스런 고개의집이라는 뜻이다.
아마도 옛날 이곳이 과수원이기 때문에 언덕으로 생겨서 붙여진것 같다.
출입구 문을열고 안으로 들어온다.
충현원은 전쟁고아를 돌보는곳이 틀림이 없었다.
어린이침대, 어린이 목욕통등이 눈에 들어온다.
1층에 전시된 오랜역사를 말해주는 빛바랜 흑백사진들
당시의 고아들이 황달병에 많이걸려 햇빛을 많이 쪼이게하기 위하여 이곳으로 배치했다고 한다.
설립자 박순이 여사의 초상화
당시 어린이들의 목용통
어린이들의 장난감도 보인다.
이 어린이 들이 성장을해서 지금중 60대 중반이 되지않을까? 생각한다.
당시의 탁구대의 보존상태도 좋았다.
1층 관람을 마치고 2층으로 올라왔다.
젖병과 의약품이 보인다.
안쪽의 짙은색 마루는 원래의 모습이고 바깥쪽 마루는 보수공사때 새로한 마루다.
어린이들의 교구와 장난감이 보인다.
이곳의 어린이 시설도 당시 어린이의 황달을 치료하기위해 남쪽에 배치했다는말에 가슴이 아려옴을 느낀다.
2층끝에서본 대숲
당초 이곳으로도 출입했다고 하고 이길로가면 굳게닫힌 원래의문으로 갈 수 있다.
테라스도 넓직하게 만들어 어린이들이 놀기 좋게 만들어졌다.
60~70년대의 낳익은모습도 보인다.
노란색 테이블은 당시의 원생들이 밥을먹던곳 식탁이다.
한국전쟁으로 발생한 전쟁고아들을 만일 이곳에서 돌보지 않았다면 당시의 어린이들의 운명은 어떻게 되었을까?
한국전쟁이 발발한지 63년이 지났으니 지금쯤 그분들이 살아계셨다면 60대 중반의 모습으로 보여진다.
충현원은 2009년부터 1930~1950년대의 충현원 개원당시의 고아원 건물을 체험관으로 복원하여 선교사회복지 기념관,한국전쟁 체험관,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사진전시관의 자료들과 충현원이 보관하고 있는 자료를 활용할것이다.
그리고 한국 전쟁 이후 반세기가 흐르는 동안 해외로 입양된 한국 고아들의 수는 2만이 넘는다.
그들은 해외에서 성장하여 청장년이 되었지만 자신의 뿌리를 찾으려는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다.
충현원은 이들을 위해 개원 당시의 고아원 건물들을 한국 체험관으로 복원하여 모국 방문 시 잃어버린 핏줄과 근원을 알게 하며, 입양 당시의
상황을 이해하고 상처를 치유하여 미래의 세계를 향한 한국의 자녀로서 긍지를 가지고 살아가도록 모심향 (母心鄕) 친정집 역할을 할 것이다.
끝으로 충현원 운영자이신 유혜랑 목사님은 일반인들의 관심과 관게기관의 적절한 예산을 지원해주길 부탁하셨다.
'여행 및 등산 > 여행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장산 단풍구경후 여행하기를 권하는 내장산 조각공원 (0) | 2013.11.07 |
---|---|
지리산 피아골 단풍여행 (0) | 2013.11.04 |
기(氣)의 고장, 월출산의 고장 영암에서 열리는 제7회 영암왕인 국화축제 (0) | 2013.10.29 |
담양여행 (관방제림,국수의거리,메타세콰이어길) (0) | 2013.10.19 |
수령 천년을 산다는 화순이서 은행나무와 느티나무 (0) | 2013.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