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세계최대,최고의 수리시설 김제벽골제에서 개최되는 제15회 김제지평선 축제

Brighten lee 1 2013. 10. 3. 06:00

 

 우리나라의 도작문화 ( 벼농사를 위주로하는 민족의 생활양식과 사회구조속에서 이루어진 독특한 고대문화)의 발생지인 벽골제의 의미를 되새기고 풍년을 기원하며 벽골제와 관련하여 전해오는 전설과 군민들의 화합단결을 위하여 김제시가 1960년부터 음력 9월9일을 김제시민의날로

지정하여 향토축제를 시행하게된다.

행사는 벽골제의 장생거가 있는곳에서 김제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벽골제 축조를 위해 희생한 단야낭자의 희생정신을 추모하는 의식이 벽골제 장승거 앞에서 김제시민의 행사와 더불어 행하여져 왔다.

벽골제는 물을 저장해두었다가 물이 부족했을때 사용하는 대표적인 관개시설로 우리나라 4대 수리시설(밀양 수산제,제천 의림지,상주 공검지)중 가장 오래되고 큰 시설로 세계최대 최고의 수리시설로 유명하다.

이처럼 벽골제 축제는 세계최대,최고의 수리시설에서 개최되니 여행을 좋아하는 후니가 축제가 시작된 첫날 벽골제현장을 취재해본다.

 

ㅇ.제15회 김제 지평선 축제

기간: 10월 2(수)~10월 6일 (일)

장소: 김제 벽골제 중심

벽골제 이용방법은 본 축제가 끝나도 하절기(3월~10월)09:00~18:00, 동절기(11월~ 2월)09:00~17:00 까지 이용 가능하다.

교통안내

승용차:김제역,터미널에서 15분거리
시내버스:김제-부량,화호,평교.금강,상평방면 (11,13,39,43번 버스)
 
 

 벽골지문 정문의 모습

 

 

 

 

 벽골지문을 들어가본다.

 

 

 

 

 벽골제는 백제 11대 비류왕 27년(330년)에 축조된 벽골제 제방및 조선시대에 건립한 벽골제 중수비가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 111호로 지정되었고 2011년 3월 사적의 명칭을 김제벽골제로 변경하였다.

 

 

 

 

 축제장을 찾은 많은 차량들

주차된 차량을 보면 사람이 많이 왔다는것이 증명이된다.

주차장이 약 7개정도 준비되어있고 셔틀버스도 운행하고 주차요원이 많이 배치되었어도  주차하는데 애를 많이먹었다.

 

 

 

 

 

 

 각종 음식 체험을 할 수 있는 벽골장터의 모습이다.

 

 

 

 

 

 

 

 도의문을 들어서니 명인학당이 나온다.

 

 

 

 

 

 명인학당

조상들의 전통문화와 예절교육을 통해 사랑의 정신을 널리 밝히고자 세운 배움터다.

전통 기초예절 교육과 인성교육,서당 한문교육 체험을 비롯하여 전통혼례등의 다양한 우리문화를 체험 할 수 있는곳이다.

 

 

 

 

 

 

 

 어릴때 보았던 화물 자전차와 막걸리통을 보니 60~70년대로 돌아간듯하다.

 

 

 

 

 소 테마공원

 

 

 

 

 

 장생거를 형상화한 조형물

 

 

 

 

 

 

 개막축하공연 리허설을 하고있다.

 

 

 

 

 

 

 백제 농경문화 박물관

국가사적 111호 고대 최대의 수리시설 벽골제의 역사적 의의및 발굴경과와 수리와 치수의 역사및 전래농경 도구와 농경문화,오래된 고을

김제를 주제로 하여 전시를 구현한 곳이다.

 

 

 

 

 

 나무통

본래 일본식 술,장등을 담아 숙성시키는 나무통(발효통)이다.

1998년 박물관 개관당시 곡갑이란 이름으로 기증하였다. 

일제강점기 주조장에서 발효통으로 사용하다가 그 후 곡식 저장용으로 활용되며 곡갑이라 불린것으로 추정된다.

 

 

 

 

 

 

 

 

 

 

 

 

 

 

 

 

 여름

 

 

 

 

 가을

 

 

 

 

겨울

 

 

 

 

 

 벽골제 수문 체험장

 

 

 

 

 벽골제 언덕에서는 연날리기 체험을 하고있다.

 

 

 

 

 

 

 

벽골제 제방

벽골제 제방을 쌓는데만 연인원 32만명이 동원 된것으로 추산되며 이밖에 수문및 하천공사등을 헤아릴때 공사인원은 헐씬 많았을 것이다.

이는 당시 사회규모와 인구수등을 고려할때 벽골제의 축조.유지.수축공사가 얼마나 거대한 국가단위 사업임을 알 수 있다.

 

 

 

 

 

장생거

벽골제는 5개의 수문이 있었고.수문의 명칭은 수여거,장생거,중심거,경장거,유통거라고 하였다.

이중 제방과 함께 남아있는 수문은 두개로 단지내 '장생거'와 단지밖 벽골제 제방을 따라 남족으로 2Km에 위치한 '경장거'이다.

 

 

 

 

 

 

 

 

 

 무자위

무넘이가 아주 얕은곳에서 대량으로 물을 대는데 사용하는 연장으로 물을 자아올린다고 하여 무자위라고 부른다.

지방에 따라 자새,자애,물자새,무자새,수룡,수차등으로 부른다.

주로 논과 염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그네 체험장

 

 

 

 

벽골제를 중심으로 전해져 내려오는 쌍용전설은 크게 '조연백 장군'설화와 '단야낭자' 설화가 있다.

조연벽은 고려시대 몽고의 침략때 대장군으로 활약한 뛰어난 무장으로서 백룡과 흑룡의 싸움에서 백룡을 도와준것을 계기로 김제조씨 가문은

대대로 융성하게 되었다는 이야기 이고, 단야낭자는 신라원성왕때 김제 태수의 딸인 단야가 스스로 청용의 제물이되어 아버지의 살인을 막고

벽골제 보수공사를 무사히 마무리 지을 수 있었다는 전설이다.

 

 

 

 

 

 

 전통혼례 체험장

 

 

 

 

 농경사 주제관및 체험관

체험 학습실및 홍보영상실,김제와 벽골제관련 각종영상관람,소규모회의,세미나등을 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이 준비되어있다.

2009년 10월9일개관 하였다.

 

 

 

 

우리나라 가을 대표축제로 불려도 손색이 없을 김제 벽골제 현장을 다녀왔다.

이밖에도 주말체험 프로그램이 있는데 한복입고 가마타기,전통혼례체험,짚풀공예체험등을 할수 있다하니 참고하면 좋겠다.